"열정을 가져라! 그러면 성공한다." 라는 말을 줄 곧 하였고 주위에서 열심히 했단 사람들이 또한 줄 곧 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듣는다고 해서 열정이 생길까요? 또한 뭔가 인생에 큰 가미가 될까요?
이런 말을 주로 사용한 본인을 토대로 절대 이런 말로는 눈이 반짝이는 열정을 생기지 않습니다.
그럼 무엇이 열정의 씨앗이 될 수 있을까요? 먼저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분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처음으로 누구나 아는 김연아선수의 어떤 동기로 이처럼 유명한 선수가 되었는지 보겠습니다.
그녀는 당시 가족과 같이 '알라딘'이란 아이스 쇼를 관람한 뒤, 자신도 열심히 스케이트를 타서 국가대표선수가 되겠다고 일기장에 적고, 담임선생이었던 <윤명자> 씨에게 편지로 보냈다고 한다.
그 편지를 받은 윤선생님은 "국가대표 선수가 되겠다고 다짐한 연아가 너무나 대견합니다.
목표대로 열심히 노력하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 라고 격려의 가정통신문을 보냈다고 한다.
이 글을 보면 "가족과 같이 알라딘이란 아이스 쇼를 관람"이란 대목이 나옵니다. 바로 무엇을 관람했고 자극을 받았다는 것이지요.
두번째 사례는 박태환선수인데 이 선수는 천식을 치료하기 위해 수영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본인이야기를 하자면 고2때 집에 곤히 잠자는 통기타를 잡고 책을 보며 C코드를 꾸역꾸역 스트록을 해보았습니다. 그 순간 아름다운 선율이 흘러나오는 것에 스스로가 놀라웠습니다. 예술과는 상관이 없을 줄 알았던 저의 자신이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아름다운 선율이 나온다는 것에 흥분을 가라앉힐 수가 없었습니다. 단 하나의 코드의 스트록으로 몇 달간 집에 붙어 기타연습만 하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 공부는 좀더 악랄했습니다. 몇 년간 도서관에 닥치는 대로 책을 읽고 예제를 타이핑 해보았죠. 그의 동기는 바로 전 학기에 숙제를 통해 였습니다. 저는 누군가와 차별되고 더 나은 결과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주위 선배나 친구들은 이런 숙제로 왜이리 고생스럽게 하냐 라며 저의 행동을 한심해 했죠. 그래도 꿋꿋이 결과를 내고 그 결과를 발표할 때 단연 주목받을만 했습니다. 교수님도 칭찬이 여력 하였고 그때 느끼게 되었습니다.
'나의 결과에 모두가 부러워하고 놀라워하는구나’ 라고 말이죠. 그 당시 자신감에 벅차 방학 내내 도서관에서 살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 이후 대회에 상도 타고 프리랜서로 일도 하게 되고 계속 동기부여가 되어 지금까지 온 것이며 아직까지 식지 않는 열정으로 임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제 열정을 가져라 라고 하지 않습니다. 움직이고 경험하라고 말을 하죠. 많은 움직임과 경험을 통해 자신을 통찰하고 깨달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 진다는 것이 이유인 것입니다.
저는 늘 동기부여를 찾습니다. 영화를 보더라도 대화를 하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동기를 부여하여 스스로를 쉬지 않게 합니다.
늘 곧 학생들을 보면 동기 부여될만한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이런 주문을 하고 싶습니다.
· 책을 통해 경험해라.
· 블로그를 통해 경험해라.
· 취미를 통해 경험해라.
· 관련행사를 통해 사람과 기술을 경험해라.
자극 받고 열정을 얻으라는 부가적인 내용 이전에 경험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수동적인 자신의 행동을 벗어 어디든 스스로를 움직이길 바랍니다. 움직일 때 자신의 할 일이 명확해질 것입니다.
이젠 자신의 범위를 벗어 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