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이야기60

열람실배정관리 시스템 베타 릴리즈 드디어 시작합니다. 약 9개월 고생을 하여 만든 좌석배치 프로젝트! 경험이 없고 또한 혼자 만들다 보니 헛점투성에 3개월 기간의 프로젝트를 3배로 뻥튀기를 해버렸습니다. 프로젝트 기간의 곱하기 3법칙이 적용이 된 것이죠. 현 시스템은 프레임웍 형태로 제작되어서 코어만 배포하고 개발자는 UI만 적용시키면 되는 형식의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먼미래를 바라보고 만든 시스템이라 많이 뒤집고 엎었고 그래서 오랜시간이 걸렸던 것이죠. 300미터 거리의 중앙열람실을 왔다갔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기쁜 발걸음이내요. 앗 방금 또 변경사항이 생겼습니다. 바쁩니다. 나중에 자세한 내용 전달 하겠습니다. 2008. 9. 22.
5회 Daum Devday Jeju 8월 29일, 2008년 유일하게 멀리 가고 유일하게 편하고 즐거운 날인 듯싶네요. 바로 다음 데브데이가 제주에서 열린 날입니다. 어느덧 5회째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가서 코딩 하는 행사인데도 제겐 늘 탈출구 같은 그런 행사였습니다. 그래서 다음 데브데이 개근이라는 영예(?)를 얻은 것 같습니다. 먼저 이번 행사는 제주이다 보니 전 회 때보다 당첨이 될지 불안함이 감돌았습니다만... 다행히 당첨이 되었고 얼마나 기쁘던지 학교를 방방 뛰어다녔던 거 같습니다. 후기의 개요는 거두절미하고 환희와 감동의 순간을 한번 펼쳐 보이겠습니다. 그 전에 4회 때를 잠시 회상하자면 그 당시 박상길님께서 엄청난 것을 준비했다고 다음 회를 설명하셨습니다. 설명 당시 모두들 기대와 흥분을 술렁이기도 하였답니다. 비행기, 김포공항.. 2008. 9. 6.
슈퍼컴퓨터의 사양은 얼마만큼 대단할까? 한참 그리드컴퓨팅에 연구를 가하다보니 슈퍼컴퓨터까지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어 슈퍼컴퓨팅센터와 한국그리드포럼에 정보를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슈퍼컴퓨터의 설명서를 보게 되었는데 일반 컴퓨터와 비교 불가한 사양이었습니다. 일단 사양을 보겠습니다. 로그인시스템은 로그관련이라 생각이 드는군요. 아무튼 실제 계산되는 컴퓨터의 사양을 보자면 2.3Ghz의 프로세스가 640개나 있으며 메모리는 2816기가바이트입니다. 하드는 외장이 63000기가 바이트.... 이 컴퓨터로 스타를 하면 아주 막 생산될거 같네요. ㅎㄷㄷ 슈퍼컴퓨터 4호기 지침서 다운받기. Tistory 태그: 슈퍼컴퓨터 2008. 8. 17.
데브데이 4회차 App 사진 2008. 6. 28.
컴공학생들이 해보는 짝프로그래밍의 고찰 애자일방법론을 아시나요? 본인은 애자일방법론을 아주 좋아합니다.(현재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쉽게 애자일방법론을 말하자면 알파 -> 베타 -> 베타 -> RC1 -> RC2 위와 같은 순환으로 점진적으로 App를 완성시킨다는 것이죠. 처음 핵심만 만들고 점점 살을 붙이는 격이라 하겠습니다. 위키백과 - 애자일 이에 반면에 폭포수는 프로젝트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위에 왼쪽 사진과 같습니다.(ㄷㄷㄷ) 여기서 말하고 싶은것은 애자일이 가지는 짝프로그래밍입니다. 짝프로그래밍을 말하려 하는 배경은 본인은 틈틈이 많은 학생들의 코드를 유심히 관찰해 보았습니다. 역시 학생이다 보니 명명법을 비롯해 제대로 된게 하나 없죠. 이것은 배워야 하는 문제이니 스스로가 노력해야겠죠. 하지만 문제는 모두 로직과 스타일이 다른데.. 2008. 5. 25.
대전대 한국MS 초청 강연에서 5월 21일 대전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멀티미디어실에서 한국MS의 직원분들을 초청하여 특강을 하였습니다. 가급적 남에게 피해없이 최대히 혼자 준비하다보니 여러가지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사진촬영이나 부가적인 일들은 엄두를 못낼 정도로 바삐 움직였습니다. 먼저 정원이 90명이어야 하는데 4학년 학생중에 교생실습이나 취업, 인턴때문에 60여명 정도 듣게 되었습니다. 진작 알았다면 연구실사람들과 타과에도 광고를 하였을텐데 하는 안타까움과 미안함 마음이 들었습니다. 주제는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 Shift이며 최신 기술및 미래와 학생으로 대처해야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였습니다. 강의는 강성재차장님께서 하셨고 역시나 재치있고 즐거운 강의시간이 되었습니다. 먼저 학.. 2008. 5. 22.